개요
- Adobe社는 Flash Player, Adobe reader, Acrobat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
 - 낮은 버전의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를 권고
 
설명
- Flash Player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[1]
 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메모리 손상 취약점
- CVE-2015-3078
 - CVE-2015-3089
 - CVE-2015-3090
 - CVE-2015-3093
 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힙 오버플로우 취약점
-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보호 모드를 우회하는 취약점
- 사용자 권한을 우회하여 파일 시스템에 임의 쓰기가 가능한 취약점
- CVE-2015-3082
 - CVE-2015-3083
 - CVE-2015-3085
 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유형 혼란(type confusion) 취약점
- CVE-2015-3077
 - CVE-2015-3084
 - CVE-2015-3086
 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use-after-free 취약점
- ASLR 우회에 사용 가능한 메모리 누수(leak) 취약점 
- 보안 우회 취약점(CVE-2015-3079)
 - CVE-2015-3044 취약점 관련 보완하기 위한 업데이트
 
- Adobe Reader 및 Acrobat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[2]
 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use-after-free 취약점
- CVE-2015-3053
 - CVE-2015-3054
 - CVE-2015-3055
 - CVE-2015-3059
 - CVE-2015-3075
 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힙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
-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메모리 변조 취약점
- CVE-2014-9161
 - CVE-2015-3046
 - CVE-2015-3049
 - CVE-2015-3050
 - CVE-2015-3051
 - CVE-2015-3052
 - CVE-2015-3056
 - CVE-2015-3057
 - CVE-2015-3070
 - CVE-2015-3076
 
- 메모리 누수(leak)를 해결
- 자바스크립트 API 실행 제한을 우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해결
- CVE-2015-3060
 - CVE-2015-3061
 - CVE-2015-3062
 - CVE-2015-3063
 - CVE-2015-3064
 - CVE-2015-3065
 - CVE-2015-3066
 - CVE-2015-3067
 - CVE-2015-3068
 - CVE-2015-3069
 - CVE-2015-3071
 - CVE-2015-3072
 - CVE-2015-3073
 - CVE-2015-3074
 
- 서비스 상태 거부(DoS)가 발생하는  null-pointer 역참조 문제를 해결
- 정보가 외부로 공개될 수 있는 XML 엔티티 처리 취약점에 대한 추가 보완
영향 받는 소프트웨어
-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Flash Player
 
- Adobe Flash Player 17.0.0.169 및 이전버전
- Adobe Flash Player 13.0.0.281 및 이전 13.x 버전
- Adobe Flash Player 11.2.202.457 및 이전 11.x 버전
- AIR Desktop Runtime 17.0.0.144 및 이전버전
- AIR SDK and SDK & Compiler 17.0.0.144 및 이전버전
-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
 
- Adobe Reader XI (11.0.10) 및 이전 11.x 버전
- Adobe Reader X (10.1.13) 및 이전 10.x 버전
- Adobe Acrobat XI (11.0.10) 및 이전 11.x 버전
- Adobe Acrobat X (10.1.13) 및 이전 10.x 버전
해결 방안
- 윈도우즈, 맥 환경의 Adobe Flash Player desktop runtime  사용자는  17.0.0.188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을 권장하며, Adobe Flash Player Download Center (http://www.adobe.com/go/getflash)에 방문하여 최신 버전을 설치 또는 자동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
- 구글 크롬 사용자는 최신 구글 크롬으로 업데이트시 자동으로 17.0.0.188버전이 포함
- 윈도우 8.X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업데이트시 자동으로 17.0.0.188 버전이 포함
- 윈도우즈, 맥 환경의 Adobe AIR desktop runtime  사용자는  17.0.0.172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을 권장하며, Adobe AIR Download Center에 방문하여 최신 버전을 설치 또는 자동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
- Adobe AIR SDK 및 컴파일러 사용자는 17.0.0.172 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을 권장하며, Adobe AIR Download Center에 방문하여 최신 버전을 설치
- 기본적으로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되어 있으며, 수동으로는 다음과 같이 확인 할 수 있음
-  도움말(help) > 업데이트 확인(Check for Updates)
- 기본적으로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되어 있으며, 수동으로는 다음과 같이 확인 할 수 있음
-  도움말(help) > 업데이트 확인(Check for Updates)
기타 문의사항
-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: 국번없이 118
 
[참고사이트]
[1] https://helpx.adobe.com/security/products/flash-player/apsb15-09.html
[2] https://helpx.adobe.com/security/products/reader/apsb15-10.html